포스팅/심리학

MBTI, S(감각)와 N(직관)의 차이는? (1편)

알 수 없는 사용자 2022. 2. 25.

MBTI, S(감각)와 N(직관)의 차이는? (1편) 

 

MBTI 성격유형 중 S와 N의 차이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MBTI는 16개 유형으로, 모든 사람들은 고유한 독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기 위한 성격유형 검사 도구라면 생각하시면 됩니다. 나를 알고, 나의 주변 사람들의 유형을 보며 서로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용도로 사용하기에 매우 좋은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S와 N은 무엇이 다를까요?

 

 

[S와 N의 정의]

감각(S)
- 감각적 인식(S)이란 우리의 기관을 통해 관찰하는 인식을 말한다.
 
직관(N)
- 직관적 인식(N)이란 통찰을 통해 가능성, 의미, 관계를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S(감각) N(직관)]

감각형과 직관형의 가장 큰 차이점?
- 정보를 수집하고 인식하는 차이

- S형은 오감, 사실 vs N형은 영감, 가능성

- S: 현실 주의자, N:미래지향 주의자

 

 

[감각형(Sensing)의 특징]

1. 가시적이고 현재적인 사실에 초점
2. 구체적인, 실용적인
3. 익숙하고 알려진 활동을 즐기는

 

 

[직관형(iNtuition)의 특징]

1. 패턴적이고 미래지향적인 가능성에 초점

2. 추상적인, 개념적인

3. 경험해보지 않은 새로운 시도를 즐기는

 

[감각(S)의 일처리 경향]

(1) 기준화된 해결법이 없는 새로운 문제를 싫어함.
(2) 만들어진 순서에 맞춰 일하기를 좋아함.(특히 SJ형)
(3) 새로운 기술보다는 이미 배운 기술을 사용하기를 즐김.
(4) 얼마나 시간이 걸리느냐의 현실적인 생각을 가지고 꾸준하게 일함. (특히 IS형)
(5) 단계적으로 결론에 도달함.(특히 IS형)
(6) 틀에 박힌 세세한 일들을 잘 견딤.(특히 ISJ형)
(7) 일이 복잡해지는 것을 못 견딤.(특히 ES형)
(8) 영감이라는 것을 별로 탐탁지 않게 여김.
(9) 사실에 대해 실수하는 일이 거의 없음.
(10) 정확성을 요하는 일을 잘함.(특히 IS형)
 

 

[직관(N)의 일처리 경향]

(1) 새로운 문제를 푸는 것을 좋아함.
(2) 똑같은 방법을 통해 반복적으로 일하는 것을 싫어함.(특히 NP형)
(3) 사용하지 않는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것을 즐김.
(4) 그때그때마다 솟아오르는 열정과 에너지로 일처리를 함.(특히 EN형)
(5) 신속하게 결론에 도달함.(특히 EN형)
(6) 틀에 박힌 세밀한 일들을 못 견딤.(특히 ENP형)
(7) 복잡한 상황을 잘 견딤.(특히 IN형)
(8) 상황에 적절하든, 적절하지 않든 영감을 따른다. (특히 부적절한 유형발달의 경우)
(9) 종종 사실에 대해 실수함.
(10)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시간 쓰는 것을 싫어함.(특히 EN형)

 

 



[직관적 인식(N)]

융은 직관을 무의식에 의해 나타나는 인식으로 특정짓고 있다.
 
직관은 관련이 없어 보이는 일들을 갑작스럽게 인식하는 패턴으로,

즉, 육감이나 예감 또는 창의적인 발견과 같이 돌발적으로 의식에 떠오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사과를 인식할 때, 감각적 인식을 사용하는 사람은 저 사과는 달콤하겠다.
파삭파삭 하겠다. 참 붉다 라는 식으로 기술한다.
 
그러나 동일한 사과를 두고도 직관적 인식을 사용하는 사람은
윌리엄 텔이나 하루 한 개의 사과를 먹으면 의사가 필요 없다는 직언이나,
 
학교에서 돌아올 때 옷가슴에 숨겨두었다가 사과를 꺼내주던 할머니의 따뜻한 정을 생각한다.

 


[감각적 인식(S)]

감각은 구체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진다.

감각은 현재 일어나는 일만 깨닫는 것이기 때문에,
감각적 인식을 선호하는 사람은 직접적인 경험에 초점을 맞추며,
이러한 인식과 관련된 특징이 발달되어 현재를 즐길 줄 알고 구체적이고 실제적이며,
관찰능력이 뛰어나고 상세한 것까지 잘 기억한다.

 

 

[직관편(iNtuition)]

1. 나는 동시에 여러 가지 생각을 한다. 그래서 친구나 동료가 가끔씩 나에게
"정신을 어디다 팔고 있냐?", "왜? 멍 때리고 있느냐?"라는 질문을 하기도 한다.
 
2. 나는 내 미래가 두렵기보다는 기대가 된다.

지금의 내 모습을 바라보는 것보다 미래의 내 모습을 상상할 때 기분이 더 좋아진다.
 
3. 나는 '지나친 세부사항'은 필요없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외려 나의 무한한 능력을 가로막는 장애물로 생각하기도 한다.
 
4. 나는 월급을 받으면 수입과 지출을 맞춰보기보다 월급을 받으면 무엇을 사야할지

그리고 어떻게 쓸 것인지 생각하는 것이 더 좋다.
 
5. 나는 이미 알고 있는 것을 정확히 암기하거나 반복적으로 기술을 연마하는 것보다는

새로운 것을 배우고, 이미 배운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더 좋아한다.
 
6. 조직 안에서 규칙을 준수하는 것보다 상황에 맞게 변경하고, 새로운 규칙을 고안한다.
 
7. 나는 일을 그 자체로 받아들이기보다 앞 뒤 관계를 찾는 일에 더 관심이 간다.
나는 항상 "이게 무슨 의미가 있지?"라고 질문한다.

 

 

+ 다음 페이지에 이어서 보겠습니다.

 

 

MBTI가 뭐에요?

2022.01.30 - [포스팅/심리학] - MBTI가 뭐에요?

 

MBTI 주기증 부기능 열등기능 3차기능 산출법

2022.02.06 - [포스팅/심리학] - MBTI 주기능 부기능 열등기능 3차기능 산출법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