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5. 11. 16:48광릉요강꽃 (추천명)<학명> Cypripedium japonicum Thunb.<분류> 현화식물문 - 백합강 - 난초목 - 난초과 - 복주머니란속<형태> 여러해살이풀,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1급(2011. 6. 11)<서식 환경> 숲속, 반그늘, 경사면<개화 시기> 4~5월<분포> 한국(강원, 경기, 전북, 전남), 중국, 일본<크기> 20~40cm<다른 이름> 광릉복주머니란, 치마난초, 넓은복주머니란, 부채잎작란화, 광릉요광꽃2011년 6월 지금, 환경부에서 멸종위기식물 1급으로 지정한 종은 총 10종이다.광릉요강꽃은 나도풍란, 만년콩, 섬개야광나무, 암매, 죽백란, 죽절초, 풍란, 한란, 털개불알풀(털복주머니란)과 함께대표적인 멸종위기식물이다. 난초과의 광릉요강꽃과 털복주머니란(Cypripedium guttatum var. koreanum Nakai)이 포함되어있는 복주머니란속(Cypripedium)은전 세계적으로 40여종이 분포하고 있으며,우리나라에는 광릉요강꽃, 복주머니란(C. macranthum), 털복주머니란(C. guttatum), 노랑복주머니란(C. calceolus) 등4종 1변종이 보고되어 있다.광릉요강꽃은 한국을 비롯한 중국 남부, 대만, 일본에 분포하고 있다.(*출처: 광릉요강꽃과 복주머니란의 뿌리에 감염된 난균근균의 특성, 심미영외 5, 한국균학회지, 2010)<광릉요강꽃 전세계 분포 현황>(*출처: Cribb P. 1997. The genus Cypripedium. Timber Press, Portland, Oregon, USA.)<국내 광릉요강꽃의 자생지역, 면적, 집단수 및 개체수 현황>(*출처: '광릉요강꽃 및 털복주머니란 보전전략 지침서', 전북대 산학협력단 선병윤외 3, 2010. 7)1932년 경기도 남양주시 광릉에서 첨 발견되었고,뿌리에서 지린내가 나고 탐스러운 주머니처럼 생긴 아래쪽 꽃잎이 요강같다고 해서 '광릉요강꽃'으로 불려지지만추천명일 뿐 정식명칭은 아닙니다.습기를 괜찮아하고 반그늘 지는 비옥한 토양에서 난균과 함께 어우러져 자라기 때문 에종자발아와 줄기유도에 의한 번식이 무척 어려운 꽃으로 알려져 있다.광릉수목원에서는 2009년부터 광릉숲 소리봉에서 27개체의 강릉요강꽃 증식 사업을 벌였지만현재까지까지 소수개체만 증식된 것으로 알려졌다.전체 확인된 수가 800여개체에 불과했던 것이강원도 화천 비수구미 한 농부의 20여 년간의 끈질긴 증식 작업으로 인해서 그 곳에만 지금 약 900여개체가 자생하고 있다.광릉요강꽃의 꽃은 통상적으로 4월 중순~5월 중순에 걸쳐 줄기 끝에서 1개가 나와 아래를 향해 개화한다면서,꽃이 열리고 시들때까지의 개화기간은 10~15일 정도이다.꽃은 크기가 지름 8 cm 내외이고 연한 녹색을 띄는 붉은색으로 보라색 반점이 있으며,맨 아래쪽 꽃잎은 안쪽으로 감싸 안아 마치 주머니 모양으로 생겼다.주머니처럼 생긴 꽃의 제일 위쪽에 암술과 수술이 위치하는 데,수술은 제일 위쪽에, 암술은 수술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수술은 제일 위쪽에 헛수술이 있고,이의 양쪽에는 마치 귀 모양으로 돌출되고 다소 밑쪽을 향한 2개의 약(葯: 꽃밥. 수술의 끝에 위치한 화분을 담고 있는 주머니)이 있다.광릉요강꽃은 꽃의 구조상 나비나 벌과 같은 대형 곤충이 아닌땅위에서 기어 다닐 수 있는 소형 곤충(길이 3 mm내외의 작은 곤충, 염낭거미과(Clubionidae)의 일종)들이수정을 매개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광릉요강꽃은 자연 수정이 엄청 어려우며, 수정되었다하더라도 굴파리 애벌레의 습격 등에 의해서 정상적인 종자 산출이 쉽지않다.게다가 설사 종자가 분산된다하더라도 균류와 공생해야 한다는 점 등이 이들의 생존을 어렵게 한다.아울러 불법도채와 같은 인위적인 남획 등은 자연컨디션에서 이들의 도태를 더욱더 부채질한다.<굴파리 애벌레에 의한 광릉요강꽃 열매의 피해>(*출처: '광릉요강꽃 및 털복주머니란 보전전략 지침서', 전북대 산학협력단 선병윤외 3, 2010. 7)난과 식물의 종자는 영양분을 가진 배유가 없고 조직화되지 않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기 떼문에자연 컨디션에서는 난균근균(orchid mycorrhizal fungi) 없이는 발아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Smith and Read, 2008).난과 식물은 보편적으로 난균근균과 공생관계를 맺고 있는데,이들은 탄소화합물 등의 양분을 난에게 공급해 종자의 발아를 도와주고,초기 엽록소 생성 및 생장에 영향을 주고 있어 둘 사이의 공생관계가 엄청 중요하다고 여겨진다(Smith and Read, 2008).<광릉요강꽃(사진의 A)과 복주머니란(사진의 B)의 뿌리 세포에 공생하는 난균근균의 현미경 사진>(*출처: 광릉요강꽃과 복주머니란의 뿌리에 감염된 난균근균의 특성, 심미영외 5, 한국균학회지, 2010)<2016. 5. 5, 강원 화천>
★ 별들이 저렇게 아름다운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꽃이 한송이 있기 때문이야... <어린왕자 中>
'공존의 삶 > 멸종위기 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멸종동식물>세계 생물종 다양성 보존의 날 100만종 동식물이 사라진다•‿• (0) | 2021.04.22 |
---|---|
(멸종동식물)여성창업 순위로 보는 인기 브랜드•‿• (0) | 2021.04.22 |
<멸종동식물>강원도자연환경연구원 제1회 멸종위기 동식물 페스티벌(˵⚈ε⚈˵) (0) | 2021.04.22 |
멸종위기 야생 동 · 식물 육상식물(o o)/ (0) | 2021.04.22 |
멸종 위기 동물이 생기는 이유 (0) | 2021.03.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