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시국으로 인해 조그마한 감기 증상에도 예전 같지 않게 덜컥 겁부터 먹는 것 같습니다.
그중에서도 열과 기침을 동반한 목감기 증상이 가장 염려스러운데요
코로나가 아니어도 요새는 꽃샘추위가 심해져 몸이 예민한 편이기 때문에
일시적인 피로감으로 몸에 열이나 거나 아니면 잔기침에도 눈치가 보이는 상황이 지나가곤 합니다.
특히 겨울철로 접어들면서 건조한 날씨 탓에 호흡기 질환과 목감기에 일상적으로 좀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해요
면역이 떨어지면 기관지에 여러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시기가 되면 누구나 한번쯤 경험하기도 하는 일반적인 증상이죠.
흔한 문제라 하여 가볍게 생각할 수 있으나 목이 따끔거리거나 콧물이 나는 등의 문제를
방치하게 된다면 생활의 불편함은 물론 만성적인 문제가 될 수 있어 평소 관리가 중요합니다.
오늘은 미리 감기에 효과 있는 차, 즙등을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알아두면 좋은 감기에 특효약인 즙과 여러 차 종류
먼저 감기에 대해 알아보고 감기에 특효약인 즙과 여러 차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께요.
감기의 원인
일반적으로 목감기란 급성 인두염(acute pharyngitis)으로 목이 붓고 목 안이 따가울 정도로 아픈 증상의 감기인데요,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감염에 의해 인두에 염증이 생긴 경우를 인두염이라고 합니다.
주로 피로 및 과로, 열성질환, 과도한 온도 차이, 체질 허약과 면역 저항성을 감소시키는
질환 등으로 인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나 목감기의 경우 급성이라면 어렵지 않게 정상적으로 돌아갈 수 있는데
만성의 경우 급성으로 발생한 인후염이 지속적으로 재발하다가 만성화가 된 것으로
반복하지 않도록 감기에 좋은 음식 등으로 평소 생활 식습관을 관리해주면 좋습니다!
다음은 코감기인데요 급성 비염이라는 명칭으로도 불리는 코감기는 비점막에 염증이 나타난 현상을 뜻하며
대부분 바이러스가 해당 부위로 침투하여 문제를 일으키게 됩니다.
피곤함이나 여러 영양소의 부족, 스트레스 때문에 자체적인 면역기능이 떨어져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타인의 분비물이 공기 중에 퍼져 코 안으로 침투하여 바이러스가 감염될 수도 있습니다.
같은 환경이라 할지라도 평소 면역력이 부족하면 쉽게 걸릴 수 있는 만큼
감기에 좋은 차를 자주 챙겨 먹는 것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겠습니다.
그럼 이제부터 감기에 좋은 차 종류들과 즙이 무엇이 있는지 한 번 같이 보도록 할게요 !
일상생활 속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들로 구성되어 있더라고요
감기 증상이 심하시다면 이 글 보시면서 차 내려마시면 상당히 도움될 것 이라 생각합니다
생강차의 효능&만드는 법
톡 쏘는 듯한 특유의 향과 맛을 가진 생강차입니다.
생강은 위장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보호 효과와 소화 촉진 작용 및 구토와 오심 등을 완화하는 효능이 있어요
또한 월경통, 근육통, 편두통 및 두통, 요통 및 흉통 등 아주 다양한 증상들에서 통증 감소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만성적인 염증성 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도움이 되며 염증 제거 효과가 있기 때문에 감기에도 좋답니다.
부작용으로는
가장 일반적으로는 속 쓰림 정도이고 다음은 메스꺼움 그 뒤로 복통, 팽만감, 가스 및 상복부 통증 정도로
미약한 부작용 사례들이 아주 적게 나타난 걸로 보입니다.
하지만 복강경 수술 환자에게서 심혈관 및 호흡기 증상이 관찰되기도 했으니
많은 양을 섭취할 경우 위와 같은 증상이 발생한다면 양을 조절할 필요성이 있겠습니다.
* 생강차 만드는 법
1. 생강 100g을 껍질을 벗겨 깨끗이 씻은 후 얇게 저며 적당한 양의 물을 붓고 푹 달입니다.
2. 생강을 건져내고, 끓인 물을 깨끗이 받아 설탕이나 꿀을 탄 다음 잔에 담습니다.
3. 여기에 채 친 대추와 속껍질을 까서 얇게 저민 호두
4. 그리고 실백 몇 개를 띄워내면 맵싸한 생강차가 됩니다
대추차의 효능&만드는 법
겨울철 목이 칼칼하고 감기 기운이 있을 때에는 따듯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대추차가 매우 효과적입니다.
몸이 차고 떨릴 때에 끓여마시면 생강차보다 더욱 많이 작용한다고 합니다.
자양 강장, 이뇨 작용과 함께 기침을 멈추게 하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피로 해소, 무기력 해소, 노화방지에 좋고 대추에 들어있는
비타민 C가 피부를 희게 하고 주근깨를 없애는 효능도 있답니다.
대추차 + 파뿌리를 함께 넣어 마실 경우 파뿌리 속 비타민C와 A, 칼륨과 칼슘이 함유되어
초기에 열이 있다면 같이 넣어 챙길 것을 권합니다.
또한 불면증을 개선해주기 때문에 잠은 최고의 보약이라는 말과 같이
숙면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심신안정과 컨디션 회복에도 도움이 된답니다!
* 대추차 만드는 법
1. 대추와 생강을 물에 깨끗이 씻어 물기를 뺍니다. 생강은 껍질을 벗겨 얇게 썰어줍니다.
2. 차관에 대추와 생강을 넣고 물을 부어 끓입니다.
3. 끓기 시작하면 불을 줄인 후 은근하게 오랫동안 달여줍니다.
4. 건더기는 채로 걸러내고 국물만 찻잔에 따라 낸 다음
5. 황설탕을 넣어 녹인 후 잣이나 대추채를 띄워 마십니다.
모과차의 효능&만드는 법
향긋한 향이 나는 모과차는 각종 영양성분이 풍부합니다
모과에는 비타민C, 사포닌, 구연산, 플라보노이드 등의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있습니다.
따라서 피로회복에 굉장히 효과적이고 면역력을 강화시켜주며
체내 활성산소를 제거해주어 노화 방지 및 각종 질병의 예방에도 좋은 기능을 한다고 합니다.
모과는 특히나 기관지에 아주 좋은 음식입니다.
감기를 예방하고 폐의 기능을 튼튼하게 해 주며, 기침과 가래를 멎게 해 줍니다
또한 각종 기관지 쪽의 염증을 완화시켜주는 걸로 알려져 있어요.
* 모과차 만드는 법
1. 모과청(모과 200g, 설탕 200g), 모과 50g, 꿀 6큰술, 잣 1/2큰술을 준비합니다.
2. 모과청은 씻은 모과를 얇게 썰고, 설탕과 함께 켜켜로 담아 봉하여 사용합니다.
3. 모과를 얇게 저며 물을 넣고 끓입니다.
4. 찻잔에 끓인 모과 물을 넣고, 모과청, 꿀을 넣습니다.
5. 잣을 띄워 따뜻하게 마십니다.
유자차의 효능&만드는 법
레몬의 3배에 해당하는 비타민 C가 함유된 유자는 상큼한 맛과 향이 좋아 거부감이 적은 차입니다
감기, 몸살에 유자차를 뜨겁게 끓여 마시면 몸에서 땀이 나면서 열이 내리게 됩니다.
또한 기침을 심하게 할 때나 편도선이 부어 편도염에 걸렸을 때에도 효과적입니다
단 편도염에 걸렸을 때에는 너무 뜨겁게 마시는 방법은 좋지 않답니다.
발한, 해열, 소염, 진해 작용 있으며, 피부 미용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특히 과음했을 때나 임산부가 입맛이 없을 때 마시면 매우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유자차 만드는 법
1. 껍질이 울퉁불퉁하고 진한 오렌지색을 띤 유자를 골라 깨끗이 씻은 다음 물기를 닦습니다.
2. 씻어놓은 유자를 세로로 반을 자른 다음 얇게 반달 썰기한 후
3. 밀폐용기에 꿀과 함께 켜켜로 깔고 뚜껑을 닫아 서늘한 곳에 15일 정도 재워 둡니다.
4. 따뜻하게 데워 둔 찻잔에 유자 시럽 1 작은술을 넣고 적당량의 물을 부은 다음 고루 저어서 마십니다.
5. 꿀을 넣어 재운 시럽이므로 달콤한 맛이 있어 따로 단맛을 더할 필요가 없습니다.
감기에 좋은 즙 종류
배즙 - 배즙은 열이 많아 감기, 목이나 폐의 염증이 있을 때 특히 좋습니다.
* 배즙 만드는 법
1. 배의 1/3의 윗부분을 뚜껑으로 쓸 수 있도록 조심스럽게 도려내고 속을 파냅니다.
2. 꿀은 3큰술을 빈 공간에 넣고 도려낸 윗부분을 덮어 찜통에 넣고 찐 뒤에 우러나온 배즙을 마십니다.
3. 아니면 그냥 배를 믹서에 갈아 즙을 내어 꿀을 썩어 마셔도 좋습니다.
무즙 - 무즙은 목의 통증과 기침에 효과가 있는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2가지의 방법으로 만들어서 섭취할 수 있는데요
* 무즙과+물엿 만드는 법
무를 얇고 둥글게 썰어 병에 넣고 여기에 물엿을 섞습니다.
이렇게 잠시 두면 무즙이 나와 물엿과 섞이는 데 이를 하루 여러 차례 한 숟가락씩 복용합니다.
* 무즙+벌꿀 만드는 법
무즙을 만든 후 그것의 3분의 1 분량의 벌꿀을 섞은 것을 하루 5-6차례 한 스푼씩 복용합니다.
3일 정도면 열이나 목의 통증이 완전히 없어진다고 합니다.
호박즙 - 호박은 점막을 튼튼하게 하며 감기에 대한 저항력을 길러주는 효능이 있는데요
동지에 호박을 먹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합니다.
또한 몸을 따뜻하게 하므로 냉증이 있는 사람에게도 효과적입니다.
호박즙은 기침감기로 기운이 없을 때 먹으면
속을 보하고 기를 돕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호박즙 만드는 법
호박 1kg, 꿀 1kg, 마늘즙 100g, 오미자 500g을 잘 섞어 따뜻한 방에 3~4일간 두거나
전자레인지에 넣고 익혀 흐물흐물 해지면 하루 세 번, 식후 1시간 있다가 먹습니다.
오늘은 건조하고 추운 겨울 감기에 좋은 차를 소개해보았습니다.
많은 커피보다 차와 함께 수분 섭취를 해주는 게 매우 좋지만
평소 주변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가습기 등으로 실내 습도를 50% 유지하는 게 중요합니다
컨디션도 조절을 잘해야 금방 호전되고 다시 걸리지 않습니다.
항상 감기 조심하시고 건강하게 하루를 보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포스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TI 성격유형 알아보기 - INTP 특징 (4편) (0) | 2022.03.09 |
---|---|
MBTI 성격유형 알아보기 - INTP 특징 (3편) (0) | 2022.03.09 |
MBTI 성격유형 알아보기 - INTP 특징 (2편) (0) | 2022.03.08 |
MBTI 성격유형 알아보기 - INTP 특징 (1편) (0) | 2022.03.07 |
MBTI 성격유형 알아보기 - ENFJ 특징 (1편) (0) | 2022.02.26 |
댓글